낙동강의 경우 과거 녹조 발생 지점 vs 2012년 발생 지점
자료제공:녹색연합녹조현상이란? 부영양화된 호수나 유속이 느린 하천에 녹조류가 크게 늘어나 물빛이 녹색으로 변하는 현상이다. 겨울에는 규조류, 여름철에는 남조류가 주요 원인이다. 녹조류가 퍼지면 햇빛이 차단되고 물속 산소량이 줄어들어 수생 동식물이 죽을 수 있다. 녹조류 중에는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유독성 물질을 함유하는 종도 있다.

'한국지리 > 지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빙하지형] 빙하지형 형성과정 모식도 (0) | 2020.03.19 |
---|---|
[해안지형/전남] 지구의 정원, 순천만(출처 : VISUAL DIVE) (0) | 2014.04.30 |
[독도/화산지형]동도는 ‘우산봉’ 서도는 ‘대한봉’ (0) | 2012.10.29 |
[수도권/하천지형]한강에 다리가 몇 개 있을까요? (0) | 2012.10.22 |
[강원/카르스트지형]돌리네와 싱크홀 (0) | 2012.09.24 |